본문 바로가기
개정교육과정

2022 개정교육과정 국어과 내용 체계(문학, 매체)

by teacher_computer 2025. 5. 23.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국어과 내용 체계 중 쓰기, 문법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오늘 학습할 내용은 2022 개정교육과정 국어과 내용체계 중 문학, 매체 입니다.

 

핵심만 쏙쏙 머리에 들어갈 수 있게 요약하겠습니다. 미흡할 수 있지만, 약간의 내용이 틀릴 수도 있지만

더블 체크한다고 생각하시고 읽어주세요.

 

준비되셨나요?

 

시작합시다.

 

 

2022 개정교육과정 국어과 내용 체계(문학, 매체)

 

국어과 내용체계 - 문학

 

핵심 아이디어 문학은 인간의 삶을 언어로 형상화한 작품을 통해 즐거움과 깨달음을 얻고 타자와 소통하는 행위이다.
문학 작품을 통한 소통은 작품의 갈래, 작가와 독자, 사회와 문화, 문학사의 영향 등을 고려하며 이루어진다.
문학 수용생산 능력은 문학의 해석, 감상, 비평, 창작 활동을 통해 향상된다.
인간은 문학을 향유하면서 자아를 성찰하고 타자를 이해하며 공동체의 일원으로 성장한다.
범주 내용 요소
초등학교 중학교
12학년 34학년 56학년 13학년
지식
이해
갈래 , 노래
이야기, 그림책

이야기

소설

수필
서정
서사

교술
맥락
독자 맥락 작가 맥락
독자 맥락
작가 맥락
독자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과정
기능
작품 읽기와 이해 낭송하기, 말놀이하기
말의 재미 느끼기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읽기
사실과 허구의 차이 이해하기
작가의 의도를 생각하며 읽기
갈래의 기본 특성 이해하기
사회문화적 상황을 생각하며 읽기
연관된 작품들과의 관계 이해하기
해석과
감상
작품 속 인물 상상하기
작품 읽고 느낀 점 말하기
인물의 성격과 역할 파악하기
이야기의 흐름 생각하며 감상하기
인물, 사건, 배경 파악하기
비유적 표현에 유의하여 감상하기
근거를 바탕으로 작품 해석하기
갈등의 진행과 해결 과정 파악하기
보는 이, 말하는 이의 효과 파악하기
운율, 비유, 상징의 특성과 효과를 생각하며 감상하기
비평
마음에 드는 작품 소개하기 인상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작품에 대해 의견 나누기 다양한 해석 비교평가하기
창작 , 노래, 이야기, 그림 등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하기 감각적 표현 활용하여 표현하기 갈래 특성에 따라 표현하기 개성적 발상과 표현으로 형상화하기
가치태도 문학에 대한 흥미 작품 감상의 즐거움 문학을 통한 자아 성찰
문학 소통의 즐거움
문학을 통한 타자 이해
문학을 통한 공동체 문제에의 참여
문학의 가치 내면화

 

 

국어과 내용체계 - 매체

 

핵심 아이디어 매체는 소통을 매개하는 도구, 기술, 환경으로 당대 사회의 소통 방식과 소통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매체 이용자는 매체 자료의 주체적인 수용과 생산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적 의미 구성 과정에 관여한다.
매체 이용자는 매체 및 매체 소통의 영향력에 대한 이해와 자신과 타인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건강한 소통 공동체를 형성한다.
범주 내용 요소
초등학교 중학교
12학년 34학년 56학년 13학년
지식
이해
매체 소통
맥락

상황 맥락 상황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매체 자료
유형
일상의 매체 자료 인터넷의 학습 자료 뉴스 및 각종 정보 매체 자료 대중매체와 개인 인터넷 방송
광고홍보물
과정
기능
접근과 선택 매체 자료 접근하기 인터넷 자료 탐색선택하기 목적에 맞는 정보 검색하기
해석과 평가
매체 자료 의미 파악하기 매체 자료의 신뢰성 평가하기 매체의 특성과 영향력 비교하기
매체 자료의 재현 방식 분석하기
매체 자료의 공정성 평가하기
제작과 공유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기 발표 자료 만들기
매체 자료 활용공유하기
복합양식 매체 자료 제작공유하기 영상 매체 자료 제작공유하기
점검과
조정

매체 소통의 목적 점검하기 매체 이용 양상 점검하기 상호 작용적 매체를 통한 소통 점검하기
가치태도 매체 소통에 대한 흥미와 관심 매체 소통 윤리 매체 소통에 대한 성찰 매체 소통의 권리와 책임

 

 

내용 암기했는지 확인 필요하겠죠?

 

빈칸 문제 만들었습니다.

 

📘 문학

🔑 핵심 개념 빈칸 채우기

  1. 문학은 인간의 삶을 언어로 형상화한 작품을 통해 ( )과 깨달음을 얻고 타자와 소통하는 행위이다.
  2. 문학 작품을 통한 소통은 작품의 ( ), 작가와 독자, 사회와 문화, 문학사의 영향 등을 고려하며 이루어진다.
  3. 문학 수용⋅생산 능력은 문학의 해석, 감상, ( ), 창작 활동을 통해 향상된다.
  4. 인간은 문학을 향유하면서 자아를 ( )하고 타자를 이해하며 공동체의 일원으로 성장한다.

📝 용어 빈칸 처리

  • 시, 소설, 극, 수필 → 시, ( ), ( ), ( )
  • 독자 맥락, 작가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 ( ) 맥락, ( ) 맥락, ( ) 맥락
  • 운율, 비유, 상징 → ( ), ( ), ( )
  • 문학을 통한 자아 성찰 → 문학을 통한 자아 ( )
  • 문학의 가치 내면화 → 문학의 가치 ( )화

 

📺 매체

🔑 핵심 개념 빈칸 채우기

  1. 매체는 소통을 매개하는 ( ), 기술, 환경으로 사회의 소통 방식과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2. 매체 이용자는 매체 자료의 주체적인 수용과 생산을 통해 ( )를 형성하고 사회적 의미 구성에 관여한다.
  3. 매체 이용자는 매체 소통의 영향력에 대한 이해와 권리 보호를 위한 ( ) 노력을 통해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한다.

📝 용어 빈칸 처리

  • 상황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 ( ) 맥락, ( ) 맥락
  • 인터넷의 학습 자료, 뉴스 및 각종 정보 매체 자료 → ( )의 학습 자료, ( ) 및 각종 정보
  • 매체 자료 의미 파악, 신뢰성 평가, 공정성 평가 → 매체 자료 의미 ( ), ( )성 평가, ( )성 평가
  • 매체 소통의 권리와 책임 → 매체 소통의 ( )와 ( )

 

 


 

이면지에 답 적으셨죠??

답 확인해보겠습니다.

 

✅ 정답

📘문학

  1. 즐거움
  2. 갈래
  3. 비평
  4. 성찰
  5. 소설 / 극 / 수필
  6. 독자 / 작가 / 사회⋅문화적
  7. 운율 / 비유 / 상징
  8. 성찰
  9. 내면화

📺 매체

  1. 도구
  2. 정체성
  3. 적극적인
  4. 상황 / 사회⋅문화적
  5. 인터넷 / 뉴스
  6. 파악 / 신뢰 / 공정
  7. 권리 / 책임

 

오늘은 2022 개정교육과정 국어과 내용체계에 대해 알았습니다.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꼭 다시 한 번 확인해주세요.

감사합니다.